반응형

    오늘은 자바 논리연산자 우선순위 및 예제를 통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렇습니다. 우선 논리연산자가 무엇일지 생각해봅시다. 논리연산자란 이름을 들었을 때 떠오르는 여러 생각이 있겠습니다. 논리연산자란 무엇인가 문제가 생겼을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공부해보자면, 여름에 선풍기를 샀는데 나사가 강력하게 조여있습니다. 이걸 손으로 풀 수 있을까요? 이 나사는 손으로 풀 수 없습니다. 인간은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이죠? 그렇기에 드라이버를 이용해 나사를 풀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가 없다면? 절대 나사를 풀 수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논리 연산자도 똑같습니다.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를 풀 수 있는 도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논리연산자 공부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한 boolean을 먼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간단한 개념이므로 boolean이라는 게 있다고 알아두시면 됩니다. Boolean, 즉 부울은 참과 거짓, true or false의 값을 갖는 자료형입니다. 이전의 int, string, short, long과 같은 자료형 중 하나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자바 Boolean 부울 자료형

     

    public class Boolean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ean isSuccess = true;
    		boolean isFail = false;
    		
    	}
    }
    

    이런식으로 boolean을 isSuccess 혹은 isFaile로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이 true 혹은 false 값을 나중에 사용할 수 있겠죠? 이번에는 boolean을 이용해 조건문 if의 판단을 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Boolean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height = 180;
    		int weight = 80;
    		boolean bmi = height > weight;
    		
    		if(bmi) {
    			System.out.println("적절한 체중에 큰 키를 갖고 계십니다.");
    		}
    	}
    }
    

    ▲ 키보다 체중이 작으면 적절한 체중이다는 논리는 이상하지만 코드의  예시만 보시면 됩니다. 간단한 코드인데요. 키와 체중의 값을 입력하고, 키가 체중보다 클 경우 if문의 println 문구를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직접 코딩해보는 게 더 이해가 빠르니 이 정도로 Boolean은 넘어가고 논리연산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바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는 피연산자이며 boolean형 값을 결과로 하는 조건식만을 허용합니다. 연산자는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등이 있으며 ||, =, ==, != 등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논리 연산자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논리 연산자가 없으면 무엇이 불편한지 알려드렸습니다. 이제 직접 검색하면서 공부해 봅시다. 제가 간단하게 알려드렸지만 검색을 통해 자바 논리 연산자에 대해 더욱더 다양한 정보를 얻고 알아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논리 연산자가 들어간 코드를 직접 짜보시는 게 숙제입니다. 논리 연산자를 이용해 일상생활에 대해 코딩을 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기차표를 사는 과정, 하루 일상, 회사 생활 등 다 좋습니다. 모든 사소한 과정까지 모두 코드로 짜보는 과정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