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번 시간에는 자바 형변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과제는 명시적 형 변환과 자동적 형 변환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하는 이유를 공부하는 과제였습니다. 항상 무엇을 왜 사용하고 무엇이 불편해서 쓰는지 알아보는 습관을 가집시다. 물론 쉬운 일이 아니고 보통 의지로 되는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이 과정을 이겨냈을 때 비로소 실력 있는 프로그래머가 될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while문과 do while 문은 for문을 대체할 수 있으며 본인이 사용하기에 편한 코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While 문

    public class Casting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1;
    		
    		while (i <= 10) {
    			i++;
    			System.out.println("i값은 " + i + "입니다.");
    		}
    	}
    }
    

    ▲ While문은 해당 조건이 끝날때까지 명령을 반복하여 실행합니다. 위의 코드는 i값이 1부터 10까지 증가하는데 매 바뀌는 i의 값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int i를 선언하고 초기화한다음 i++;라는 코드를 통해 while문이 반복할 때마다 i의 값을 1씩 더하는 코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위의 코드는 몇 번 반복한걸까요? 정답은 10번 반복했습니다.

    do ~while문

    do while문은 while문과 조금 다릅니다. while문은 조건을 반복하고, 조건에 부합할 시 수행할 명령을 수행하는 반면 do while문은 조건에 부합할 시 수행할 명령을 먼저 지정하고, 조건을 반복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do while문은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도 한 번은  출력하게 됩니다.

    public class Casting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10;
    		
    		do {
    			System.out.println(i + ". do while");
    		} while(i <= 9);
    	}
    }
    

    ▲ 코드를 통해 이해해봅시다. 위의 코드는 i가 10이며 while문에서 i가 9 이하일 경우 반복한다고 명령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위의 코드를 실행해보면 한 번 println 코드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o의 실행 문구가 while 보다 위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i의 값이 어떻게 되었든 상관없이 do의 println을 먼저 실행하고 while문을 실행합니다. 이것이 do while문의 특징입니다. 오늘은 과제가 없습니다. 직접 코드를 짜보고 이해하시면 좋겠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